본문 바로가기

ALL403

종교와 음식 18 누룩을 넣은 빵과 넣지 않은 빵 그리스도교회가 가톨릭과 정교회로 완전히 분리된 것은 양 교회 대표자들이 서로에게 파문장을 던지는 사건이 벌어진 1054년이다. 하지만 그 이전부터 주도권을 두고 오랫동안 갈등을 겪어 왔다. 원래 초대 교회는 로마, 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5대 지역별로 나뉘어 서로 독립적이면서 동등한 관계로 신앙생활을 이어왔다. 그러나 로마교회는 베드로의 후계자로 장자 교회임을 강조하며 전체 그리스도교에 대한 통제권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반면 콘스탄티노플 교회 등 다른 지역 교회들은 “권력이나 높고 낮음에 있어서 첫째라는 의미가 아니다”라면서 동등한 위치임을 주장했다. 양측은 주도권뿐 아니라 교리 해석, 언어와 문화 및 관습에 따른 가치관에서도 차이를 보였고 점차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사제.. 2017. 6. 30.
푸드립 13 칼바도스 문재인 대통령의 인기가 높다보니 그의 커피까지도 덩달아 화제가 된다. 대통령의 단골집에 사람들이 몰리는 것은 물론이고 문재인 블렌딩까지 인기다. 어떤 바리스타가 SNS에 올리면서 돌게된 글을 보면 문대통령의 블렌딩 기법은 커피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라야 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지인이 그 방식대로 커피를 블렌딩 했다며 나에게 좀 나눠줬는데 커피나 와인의 맛 쪽에는 문외한에 가까운지라 어떤 부분이 어떻게 좋은건지는 잘 모르겠다. 아, 물론 맛은 좋았다. 그저 내가 커피를 아는 수준이라면 맛있다, 맛없다 정도다. 살짝 신 맛이 나면서 신선한 느낌이 나는 커피, 엄청 진한데 뒷맛이 쓰지 않는 커피, 그윽하고 구수한 커피 정도로 커피 맛을 표현하는게 고작이다. 문재인 블렌딩은 진한데 뒷맛이 쓰지 않는 커피 쪽에 가.. 2017. 6. 8.
이 책 어때? / 검찰 개혁 방안은 어떠해야 할까 PD수첩 사건 주임검사를 맡았던 임수빈 검사, 현 변호사는 2008년 당시 제작진을 기소하라는 검찰 지휘부의 지시를 거부하고 무혐의를 주장했다. 그리고는 이듬해 결국 검찰을 떠났다. 지난해 말 특검후보로도 거론됐던 그가 최근 낸 책은 라는 제목의 검찰개혁안이다. 현재 검찰의 문제가 무엇인지, 검찰의 구체적인 개혁방안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검찰 개혁에 대해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다. 참고로 이 책과 함께 비슷한 시기에 나온 도 같이 읽어보면 더 좋겠다. 쉽게 술술 읽힌다. 의 내용을 간략히 들여다보겠다. *우선 현재의 검찰이 갖고 있는 대표적인 문제는 무엇일까. 첫번째는 표적수사다. 이명박 정부 시절의 한명숙 전 총리 사건, 정연주 전 KBS 사장 사건, 미네르바 사건.. 2017. 6. 7.
맥주를 마시는 법 이라는 책이 나왔다. 인도계 미국 언론인이자 연구자로 일하는 심란 세티가 썼다. 빵과 와인, 초콜릿, 커피, 맥주의 맛과 풍미를 알아보고 여기에 얽힌 이야기를 찾아 세계각지를 다니며 만난 많은 사람과의 대화와 공부를 쓴 기록이다. 지난해 스미소니언이 선정한 미국 음식분야 최고의 책이라고 한다. 앞서 언급한 음식의 역사와 진정한 맛, 즐기는 법, 그리고 풍미를 잃어가는 위기의 원인 등을 두루두루 살피고 있으니 재미있고 쉽게 읽을만하다. 이 책에서 충격받은 부분이 있다. 뭐 대단한건 아닌데 내가 알던 상식과 완전히 다른 부분들을 발견해서다. 맥주관련 장에서 맥주를 제대로 맛보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 다들 참고해 보시길. 1. 유리잔을 얼리면 좋다는 케케묵은 생각은 오히려 맛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한다. 물이.. 2017. 6. 6.
종교와 음식 14 디저트 달콤함을 즐기는 건 믿음의 증거” 최근 몇년 새 디저트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해외의 디저트가 국내에 많이 소개됐다. 프랑스의 마카롱이나 에클레어, 밀푀유 등은 대중화된 지 오래고 터키의 바클라바 등 생소한 디저트도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특히 터키는 ‘디저트의 천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디저트를 자랑한다. 얇은 도우 사이에 견과류와 꿀을 층층이 쌓은 전통파이 바클라바, ‘터키쉬 딜라이트’로 불리는 젤리 로쿰, 쌀로 만든 푸딩 수틀라치, 밀가루와 설탕으로 만든 헬바 등은 터키를 대표하는 디저트로 꼽힌다. 이외에도 쿠나파, 마울, 무할레비, 사비야트, 줄라비야, 카타이프 등도 중동 지역에서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메뉴들이다. 이 같은 디저트 메뉴의 특징은 단맛이 엄청나게 강하다는 것이다. 중동 지역의 디저.. 2017. 6. 4.
종교와 음식 13 선악과가 사과로 착각된 이유 성경 창세기에 가장 먼저 나오는 먹거리 이름이 선악과다. 천지를 창조한 하나님이 아담에게 동산에 있는 각종 나무의 열매는 먹어도 되지만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고 했다. 성경 어디를 봐도 선악과를 다른 과일 이름으로 지칭하지는 않았다. 영어 성경에도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The Tree of Knowledge of Good and Evil)라고 나와 있다. 그런데 기독교 사상을 근간으로 한 서양에선 오랫동안 선악과를 사과로 생각했다. 남성의 결후를 일컫는 말이 ‘아담의 사과’(Adam’s Apple)인 것처럼 말이다. 중세 기독교 문화가 유럽을 지배하는 동안 이 같은 인식이 확산됐고 17세기 발표한 밀턴의 에서는 선악과를 사과로 명시했다. 르네상스 시대 화가들 역시 선악과를 사과처.. 2017.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