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6

서울에서 맛있는 집을 찾는 법? 난 여행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 것이 음식이다. 그 지역의 전통과 특색이 나타나는 음식, 게다가 맛있고 이야깃거리까지 있는 곳이라면 그 자체로 여행의 목적이 된다.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경우가 많을 것 같다. 때문에 그 많은 맛집 정보가 도처에 넘쳐나는게 아닐까. 사람들은 여행을 앞두고 블로그를 검색하거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맛집을 찾는다. 빡빡한 일정에 이런저런 모험까지 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난 몇끼 정도는 세렌디피티를 기대하며 감이 이끄는 곳에 들어가기도 하지만 그래도 가봐야 할 곳들에 대한 검색은 열심히 하는 편이다. 맛집을 검색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것은 트립어드바이저와 구글, 외국 잡지나 신문의 트래블 섹션이다. 먼저 트립어드바이저로 순위를 뽑고 그 리뷰들을 보면서 구글을 크로스 체크.. 2018. 12. 20.
A 부터 Z 까지... 케이팝을 이해하는 키워드 올해의 인물로 BTS를 꼽는 기사를 정리하던 중 내친 김에 이것도 정리해 올려본다. 지난 6월인가 BTS가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뒤 외신에 나온 기사들을 봤었는데 가디언이 정리했던 이 기사가 재미있어서 어딘가 저장해 둔 것을 지금 다시 보게됐다. 우리도 가끔씩 약식 버전으로 이런 식의 정리를 해보긴 하는데 가디언도 이런 방식으로 K팝에 대한 기사를 정리했다.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다 채우진 않았으나 비교적 성실하게 한 편이다. 게다가 한국적인 미묘한 현실을 잘 이해한 것 같아서 흥미롭다. 이런 기사를 보면 BTS가 대단한 일을 했다 싶긴 하다. 가디언이 케이팝에 대한 이 기사를 쓰기 위해 얼마나 취재하고 재미있게 소화하려 아이디어를 짜냈을까 싶은게 보이니 말이다. 가디언이 국내의 문화 관련 .. 2018. 12. 17.
세계 최고급 캐비어는 어디서 나는가 중국, 그리고 식품.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조합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값싸고 품질 떨어지는 농산물과 가공 식품=중국산이라는 인식은 디폴트값이다. 이름 모를 술을 먹었는데 그 다음날 눈이 멀었다는 둥 하는 괴담도 상당히 설득력을 얻어왔다. 실제로 표백제에 담근 닭발, 쥐약 먹고 죽은 쥐로 만든 양꼬치 따위의 뉴스도 심심찮게 전해졌으니 중국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것이 우리의 지나친 편견만은 아니라고 하고 싶다. 하지만 얼마전 그렇게만 생각해선 안된다는 꽤 흥미로운 단서를 얻었다. 10월25일부터 11월4일까지 진행됐던 에서 상영됐던 을 보고서다. 개인적으로 애정하는 영화제이나 포스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알랭 뒤카스는 미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 2018. 11. 11.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보고 나서 하게 되는 생각들 1. 음악이 모든 것을 다했다. 100%, 200%도 더 해냈다. 영화를 보고 난 뒤 누구나 퀸의 음악에 대한 ‘조갈’을 느꼈을 거다. 집으로 오는 길에 음원사이트에서 계속 퀸의 음악을 들었고, 돌아와서는 유튜브를 틀어놓고 퀸의 실황 공연과 뮤직비디오를 밤새 반복했다. 노래를 따라 부르고 싶어 결국 차를 몰고 나올 수 밖에 없었다. 70년대 밴드이지만 현재 10대나 20대에게도 친숙한 노래들, 게다가 굳이 음악을 찾아 듣는 사람들 아니어도 웬만하면 다 아는 노래가 그들의 노래다. 음악사적 의미가 어쩌고 이 따위 거추장스러운 설명 필요 없이 전 세대의 직관에 와 닿는, 본능을 자극하는 음악이 퀸의 음악이니 말이다. 영화적 완성도에 대한 이야기는 좀 분분한 것 같다. 하지만 사실 음악이 모든 것을 다했기 때.. 2018. 11. 9.
기독 청년은 왜 극우로 몰려가나 기독 청년은 왜 극우로 몰려갔나. 최근 가짜뉴스 발원지로 극우 기독교계가 부상하면서 이 주제는 꽤 흥미를 끌었다. 태극기, 극우, 보수 기독교. 이 세가지를 묶는 공통점은 장년, 노년층이라고 공식처럼 입력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극우로 몰려가는 기독 청년이라니 말이다. 기독교를 기반으로 한 인문학 아카데미 청어람 ARMC에서 주최한 강연회에 참석한 것은 그런 이유에서였다. 발표자는 서교인문사회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현준 연구원. 서강대 사회학 박사과정을 수료한 김 연구원은 최근 ‘개신교 우익 청년 대중운동의 형성’이라는 제목의 소논문도 발표했다. 강의는 지난 10월19일 열렸다. 강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봤다. 극우 정치세력의 배경에 보수 개신교계가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여.. 2018. 11. 7.
문화리조트 꿈꾸는 핫 플레스이스 1인 미디어시대가 도래하면서 가장 활발히 생산·유통되는 정보는 ‘핫 플레이스’다. 맛집, 카페, 독특한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 예쁜 공간 등 지금도 끊임없이 생겨난다. 최근 몇 달 새 인스타그램 피드를 장식한 사진 중 꽤 많이 눈에 띄는 것은 복합문화공간이라고 불리는 곳들이다. 전시장, 카페, 레스토랑, 상점 등이 한데 모여 도심형 ‘문화 리조트’를 표방하고 있다. 규모가 크지 않지만 개성있는 콘셉트로 무장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공간들이다. 아직 1년이 되지 않은 ‘핫 플레이스’들, 그 중 ‘명소’를 꿈꾸는 곳들을 들여다봤다. **성수동 우란문화재단 성수동은 현대와 과거가 공존하는 곳이다. 산업화의 흔적이 남아있는 70~80년대 골목길에 독창적인 스타일의 ‘가게’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어 힙스터들의 발길이.. 2018.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