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드라마들도 되짚어 봅시다. 다들 완소드라마가 있었겠지만 저는 올해 저를 가장 행복하게 했던
드라마가 뭔지 떠올려봤습니다.
그 첫번째 자리는 <성균관 스캔들>에게 주고 싶네요.
샤방한 젊은 연기자들이 알콩달콩 달달, 재미나게 엮어가는 로맨스, 여기에 묵직한 역사적 의식까지 얹히면서 오래도록 기억되는 아련한 드라마가 됐습니다.
<성균관 스캔들>의 감성을 이어가는 것은 현재 방영되고 있는 <시크릿 가든> 일듯 합니다.
‘OO앓이’ 환자를 양산하는 드라마 바톤을 이어받은 셈이죠.
올 초 방영됐던 <파스타>도 어떠셨나요? 톡톡 튀는 사랑이야기가 맛깔난 이태리 요리와 어우러졌지요.
먹는 이야기가 나오니 <제빵왕 김탁구>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올해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했던, 객관적 성적 역시 가장 뛰어난 드라마입니다.
선굵은 시대극으로 많은 남성시청자들의 지지를 받았던 작품으론 <자이언트>가 있습니다.
사극에서는 <추노>가 두드러진 작품이었죠. 호쾌한 액션사극이라는 새 장을 열었던 이 작품은 한장면 한장면이 영화나 광고화면을 보는듯한 세련된 질감을 전해줬습니다. 시도 때도없이 ‘벗어제끼는’ 남자배우들의 근육질 몸매 무한경쟁도 벌어지면서 눈도 호강했던 것 같습니다.
앞서 말한 성균관스캔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새로운 형식의 사극이 주목을 끌었다면 정통 사극은 침체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현재 방영중인 <근초고왕>도 그렇고 <명가>, <김만덕>, <김수로> 등은 소리소문없이 쓸쓸하게 끝났던 사극이죠.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개인의 취향> <인생은 아름다워> 등도 나름의 마니아층을 양산했던 드라마였습니다.
신예 배우들이 대거 등장했던 <나쁜 남자>는 새로운 시도와 접근법 등 나름대로 의미있는 드라마였음에도 안팎의 여러 이유들로 주목을 덜 받은, 아쉬움이 많이 남는 비운의 드라마였다고 정리하겠습니다.
민망했던 드라마도 있습니다.
많은 돈을 들이고 초호화캐스팅으로 화제를 모았던 <로드넘버원>입니다. 드라마 제작발표회 당시 편집본을 보면서 가졌던 기대감과 본방송과의 괴리감이 무척이나 컸습니다. 아울러 연출력과 편집방식의 차이가 얼마나 큰 결과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여실히 보여준 드라마로 기억되네요.
<대물>역시 용두사미처럼 돼버렸고, <도망자>도 여러모로 아쉬움을 많이 남긴 드라마지요.
드라마 이야기가 나온 김에 최고의 명장면은 무엇이었을지 한번 꼽아보죠.
전 지금도 그장면을 떠올리면 헛헛함, 배신감에 가슴이 서늘해지고 머리가 싸하게 아파오는 것이 한동안 겪었던 극심한 후유증이 떠오릅니다.
바로바로바로 올 초 끝났던 <지붕뚫고 하이킥>의 마지막 장면. 세경이와 지훈이의 마지막 모습입니다.
흑백으로 멈췄던 그 화면 기억하시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충격과 경악으로 몰아넣었는지는 말 안해도 아실듯합니다.
그럼 이번엔 연기자들을 볼까요.
먼저 샛별처럼 떠오른 신예스타로는 <성균관 스캔들>의 송중기와 박유천을 꼽겠습니다. 두 말이 필요없죠.
연기경력이 꽤 된 유아인도 재조명됐고 하지원과 너무 닮은 전태수도 주목받았습니다.
<제빵왕 김탁구>의 윤시윤, 주원은 무명 신인에서 일약 주연급으로 발돋움했습니다.
<검사프린세스>와 <역전의 여왕>에 출연한 박시후 역시 존재감을 확인시켰고
<자이언트>의 실장님 주상욱도 입지를 굳힌 것 같습니다.
드라마 자체의 흥행을 떠나 재발견된 배우들도 있습니다.
전 그 첫번째에 <여우누이뎐>에 출연했던 한은정을 놓겠습니다. 도회적이고 감각적 스타일의 탁월한 신체적 조건 때문에 차도녀 역할, 혹은 비련의 여주인공 역할을 주로 해오던 그는 <여우누이뎐>을 통해 모성본능을 선보이며 깊고 충만한 연기력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 됐다는 생각이 듭니다.
올 초반 미니시리즈 <산부인과>에서 단독 주연을 맡았던 장서희 역시 배우로서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그동안 복수극전문 연기자라는 꼬리표를 벗었을 뿐 아니라 40이 다 되어가는 나이에 미니시리즈 원톱주연을 꿰차고 10살 가까이 어린 남자배우들과 로맨스 연기를 무리없이 펼쳐 보였다는 점에서 무한 영역에 도전해가는 배우로 꼽힐만합니다.
혼신의 열연을 펼쳤지만 드라마가 주목받지 못하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배우들도 있습니다.
<제중원>의 박용우나 시트콤 <볼수록 애교만점>의 최여진, <장난스런 키스>의 정소민, 이태성이 우선 떠오르네요.
중견배우들이 미친 존재감을 발하며 빛을 낸 드라마도 많았습니다.
그들의 연기 내공에서 풍겨져나오는 포스는 드라마 전체의 격을 높이고 생기를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김갑수(신데렐라 언니, 성균관스캔들), 이재용(성균관 스캔들, 대물), 이미숙(신데렐라 언니), 김혜옥(나쁜 남자), 성동일(추노,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전인화(제빵왕 김탁구), 조성하(성균관스캔들), 정보석(자이언트), 류승룡(개인의 취향) 등이 기억납니다.
팍팍한 현실을 잊게 해주고 대리만족과 환상의 날개를 펼치도록 도와주는 드라마.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그토록 드라마를 사랑하고 또 많이 만들어지는 거겠죠.
어쨌든, 올해의 현실세계는 우울함과 잿빛으로 가득했지만 이분들 때문에 그나마 행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드라마가 뭔지 떠올려봤습니다.
그 첫번째 자리는 <성균관 스캔들>에게 주고 싶네요.
샤방한 젊은 연기자들이 알콩달콩 달달, 재미나게 엮어가는 로맨스, 여기에 묵직한 역사적 의식까지 얹히면서 오래도록 기억되는 아련한 드라마가 됐습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성균관 스캔들>의 감성을 이어가는 것은 현재 방영되고 있는 <시크릿 가든> 일듯 합니다.
‘OO앓이’ 환자를 양산하는 드라마 바톤을 이어받은 셈이죠.
올 초 방영됐던 <파스타>도 어떠셨나요? 톡톡 튀는 사랑이야기가 맛깔난 이태리 요리와 어우러졌지요.
mbc제공
먹는 이야기가 나오니 <제빵왕 김탁구>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올해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했던, 객관적 성적 역시 가장 뛰어난 드라마입니다.
선굵은 시대극으로 많은 남성시청자들의 지지를 받았던 작품으론 <자이언트>가 있습니다.
사극에서는 <추노>가 두드러진 작품이었죠. 호쾌한 액션사극이라는 새 장을 열었던 이 작품은 한장면 한장면이 영화나 광고화면을 보는듯한 세련된 질감을 전해줬습니다. 시도 때도없이 ‘벗어제끼는’ 남자배우들의 근육질 몸매 무한경쟁도 벌어지면서 눈도 호강했던 것 같습니다.
앞서 말한 성균관스캔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새로운 형식의 사극이 주목을 끌었다면 정통 사극은 침체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현재 방영중인 <근초고왕>도 그렇고 <명가>, <김만덕>, <김수로> 등은 소리소문없이 쓸쓸하게 끝났던 사극이죠.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개인의 취향> <인생은 아름다워> 등도 나름의 마니아층을 양산했던 드라마였습니다.
신예 배우들이 대거 등장했던 <나쁜 남자>는 새로운 시도와 접근법 등 나름대로 의미있는 드라마였음에도 안팎의 여러 이유들로 주목을 덜 받은, 아쉬움이 많이 남는 비운의 드라마였다고 정리하겠습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민망했던 드라마도 있습니다.
많은 돈을 들이고 초호화캐스팅으로 화제를 모았던 <로드넘버원>입니다. 드라마 제작발표회 당시 편집본을 보면서 가졌던 기대감과 본방송과의 괴리감이 무척이나 컸습니다. 아울러 연출력과 편집방식의 차이가 얼마나 큰 결과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여실히 보여준 드라마로 기억되네요.
<대물>역시 용두사미처럼 돼버렸고, <도망자>도 여러모로 아쉬움을 많이 남긴 드라마지요.
드라마 이야기가 나온 김에 최고의 명장면은 무엇이었을지 한번 꼽아보죠.
전 지금도 그장면을 떠올리면 헛헛함, 배신감에 가슴이 서늘해지고 머리가 싸하게 아파오는 것이 한동안 겪었던 극심한 후유증이 떠오릅니다.
바로바로바로 올 초 끝났던 <지붕뚫고 하이킥>의 마지막 장면. 세경이와 지훈이의 마지막 모습입니다.
흑백으로 멈췄던 그 화면 기억하시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충격과 경악으로 몰아넣었는지는 말 안해도 아실듯합니다.
그럼 이번엔 연기자들을 볼까요.
먼저 샛별처럼 떠오른 신예스타로는 <성균관 스캔들>의 송중기와 박유천을 꼽겠습니다. 두 말이 필요없죠.
연기경력이 꽤 된 유아인도 재조명됐고 하지원과 너무 닮은 전태수도 주목받았습니다.
<제빵왕 김탁구>의 윤시윤, 주원은 무명 신인에서 일약 주연급으로 발돋움했습니다.
<검사프린세스>와 <역전의 여왕>에 출연한 박시후 역시 존재감을 확인시켰고
<자이언트>의 실장님 주상욱도 입지를 굳힌 것 같습니다.
드라마 자체의 흥행을 떠나 재발견된 배우들도 있습니다.
전 그 첫번째에 <여우누이뎐>에 출연했던 한은정을 놓겠습니다. 도회적이고 감각적 스타일의 탁월한 신체적 조건 때문에 차도녀 역할, 혹은 비련의 여주인공 역할을 주로 해오던 그는 <여우누이뎐>을 통해 모성본능을 선보이며 깊고 충만한 연기력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 됐다는 생각이 듭니다.
kbs제공
올 초반 미니시리즈 <산부인과>에서 단독 주연을 맡았던 장서희 역시 배우로서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그동안 복수극전문 연기자라는 꼬리표를 벗었을 뿐 아니라 40이 다 되어가는 나이에 미니시리즈 원톱주연을 꿰차고 10살 가까이 어린 남자배우들과 로맨스 연기를 무리없이 펼쳐 보였다는 점에서 무한 영역에 도전해가는 배우로 꼽힐만합니다.
혼신의 열연을 펼쳤지만 드라마가 주목받지 못하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배우들도 있습니다.
<제중원>의 박용우나 시트콤 <볼수록 애교만점>의 최여진, <장난스런 키스>의 정소민, 이태성이 우선 떠오르네요.
중견배우들이 미친 존재감을 발하며 빛을 낸 드라마도 많았습니다.
그들의 연기 내공에서 풍겨져나오는 포스는 드라마 전체의 격을 높이고 생기를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김갑수(신데렐라 언니, 성균관스캔들), 이재용(성균관 스캔들, 대물), 이미숙(신데렐라 언니), 김혜옥(나쁜 남자), 성동일(추노,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전인화(제빵왕 김탁구), 조성하(성균관스캔들), 정보석(자이언트), 류승룡(개인의 취향) 등이 기억납니다.
팍팍한 현실을 잊게 해주고 대리만족과 환상의 날개를 펼치도록 도와주는 드라마.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그토록 드라마를 사랑하고 또 많이 만들어지는 거겠죠.
어쨌든, 올해의 현실세계는 우울함과 잿빛으로 가득했지만 이분들 때문에 그나마 행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TV토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영어? 명품영어? 호들갑은 그만!!!! (0) | 2011.01.12 |
---|---|
시상식 보다가 잡생각 하다가 (2) | 2011.01.02 |
유천, 준수, 재중 그들과의 이야기 (0) | 2010.12.23 |
2010년을 쓴 그들- 허각 미쓰에이 (0) | 2010.12.21 |
드라마와 책 (0) | 201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