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794

한국 개신교의 반공주의를 이해하려면 극우, 반공, 기득권 등의 단어로 무언가를 지칭하며 설명할 때 많은 사람들은 개신교를 떠올린다. 개독이라는 조롱섞인 용어도 같은 맥락이다. 주변의 많은 개신교인들 중에는 맹목적인 상태에 있는 이들도 있지만 상당수는 왜 개신교가 이런 취급을 받아야 하는지 안타깝고 답답해하는 이들도 많다. 얼마전 4.·3과 관련해 포스팅하면서 개신교계가 이 비극적인 역사를 두고 사죄해야 한다고 썼던 적이 있는데 한 지인은 한국 개신교에 그런 역사가 있는줄은 몰랐다면서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개신교의 현재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 그 배경과 역사적 연원이 어떠한지 이해할 수 있는 책이 두권 있다. 우선적으로 볼 것은 윤정란씨가 쓴 다. 이 책은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읽어봐야 한다.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 2018. 4. 10.
정교회는 왜 부활절이 다른가 한국정교회. 가톨릭이나 개신교는 익숙하지만 아무래도 국내에서 정교회는 낯설다. 지난 4월 8일은 정교회의 부활절이었다. 부활절이면 같은 부활절인데 왜 정교회의 부활절인지 궁금할 수 있다. 원래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축하한 부활절은 이달 1일이었다. 부활절은 십자가에 못박혀 죽은 예수가 다시 살아남을 기념하는 날로, 전세계 기독교도의 최대 축일이다. 기독교는 크게 3가지 분파가 있다. 가톨릭과 개신교, 그리고 정교회다. 원래는 한 뿌리에서 출발했으나 1054년 동서교회가 분리되어 로마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정교회로 자리잡게 됐고. 이후 16세기에 종교개혁이 일어나면서 가톨릭과 개신교가 나뉘게 됐다. 다시 부활절 이야기로 돌아가자. 부활절은 매년 날짜가 달라진다. 날짜를 계산하는 .. 2018. 4. 9.
데뷔 50주년 가왕 조용필, 인맥으로 보는 음악 인생 올해로 데뷔 50주년을 맞은 가수 조용필을 지칭하는 수식어는 많다. 가왕, 국민가수, 최고의 명창 등등. 하지만 그저 ‘조용필’이라고 칭하는 것이 그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는 말이다. 그는 여러 인터뷰에서 “과잉된 수식어가 넘쳐나는 것이 싫다”면서 “그냥 ‘조용필’ 그대로가 좋다”고 했다. 그의 삶도 그렇다. 오로지 음악뿐이다. 그를 알고, 오랫동안 만나온 사람들의 한결같은 증언은 “언제 어디서 만나더라도 오로지 음악 이야기만 한다”며 “때문에 정말 재미없는 사람”이라며 불평 아닌 불평을 한다. 음악 아닌 다른 분야를 기웃거리는 것은 고사하고 눈길조차 준 적이 없다. 그가 만나고 교류한 사람들은 모두 음악이 바탕이 됐고, 그의 음악을 살찌우고 한국 대중음악을 탄탄하게 만드는 자양분이 됐다. 직·간접적으로.. 2018. 4. 9.
미셸 우엘벡을 끊을 수 없는 이유 미셸 우엘벡을 끊어야겠다고 생각했던 적도 있었으나 결론적으로는 잘 안됐다. 특정 작가나 감독, 배우에게 꽂히면 그걸 덕질하는 수준으로 파는 편인데 미셸 우엘벡의 소설은 거진 읽은 것 같다. 읽을 때 마다 아 끊어야지, 이건 좀 아니지 않아, 이러면서도 자꾸자꾸 손이 가다 지금에 이르렀다. 최근에도 그의 책 을 다시 읽었다. 우파 아나키스트라고 자처하는 그는 극단적 자유주의자로 봐도 무방하다. 현란한 지적 배경을 바탕으로 온갖 지식과 ‘썰’을 풀어내는 그의 화자들은 자기 비하적인 태도를 취하며 무심한 듯 툴툴거린다. 허무하고 냉소적인 특유의 분위기까지 더해지면서 비루한 척 하지만 그 바탕엔 은근한 깐족거림이 깔려있다. 아무튼 현실로 본다면 썩 기분좋은 방식은 아닌데도 그가 풀어내는 썰을 듣고 싶어 견딜 수.. 2018. 4. 5.
한국 영화계 손예진의 힘 멜로 기근, 여성 실종. 최근 몇 년간 한국 영화계는 이처럼 메마르고 부정적인 단어들로 묘사됐다. 다양성 없는 한국 영화계의 현실은 곧 여성 및 여성성 부재였던 셈이다. 그럴 때마다 일종의 ‘구원투수’처럼 등장했던 이가 배우 손예진(36)이다. 관객 200만명을 돌파하며 순항 중인 는 손예진의 영화다. 20대부터 30대 중반을 오가는 주인공 ‘수아’는 풋풋한 20대의 감성과 어린 아들을 향한 애끊는 모성을 보여주며 관객들의 가슴을 데우고 눈물을 쏙 빼놓는다. 영화 의 감성이 뇌리에 새겨진 팬이라면, ‘멜로 퀸’의 귀환이라는 홍보문구에 설레던 관객이라면 믿고 기대하고 만족했음직하다. 피칠갑과 욕설이 난무하는 거친 작품들만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던 영화계에서 ‘손예진 영화’는 자기만의 자리를 만들어 왔다. .. 2018. 4. 3.
최초 기록 써온 일식 셰프 김선미 셰프가 선망의 직업으로 떠올랐지만 여성 셰프는 여전히 드문 존재다. 그 중에서도 일식은 거의 ‘금녀’의 분야로 인식돼 왔다. 초밥 맛집으로 소문난 곳이나 일류호텔 일식당에서 초밥을 만드는 여성 요리사를 본 적이 있는지 물어본다면 대다수가 고개를 갸우뚱할 가능성이 높다. 초밥 종주국인 일본에서 초밥집을 방문해본 이들도 마찬가지다. 무라카미 시게오의 만화 는 초밥 장인이 되는 꿈을 꾸는 여성 ‘사치’의 이야기다. 만화 도입부에서 초밥 장인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사치에게 아버지는 버럭 화를 내며 말한다. “여자한테 초밥은 맞지 않는다니까!” 여성에게 초밥 만들기가 금기시됐던 이유로 꼽혀온 것은 체온이다. 배란 때문에 여성의 체온이 높아 손이 더 따뜻하기 때문에 신선한 생선을 만져서는 안된다는 것. 그런 믿음이.. 2018.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