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식과 탐식

주류세계, 주류가 달라졌다... MZ는 하이볼

by 신사임당 2023. 5. 13.

삼겹살에 소주, 치킨에 맥주. 오랫동안 유지됐던 이 안정적인 페어링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최근 몇 년 새 젊은층의 입맛과 트렌드를 사로잡고 있는 ‘하이볼’ 때문이다. 일본식 선술집 이자카야는 말할 것도 없고, 소위 MZ세대가 많은 지역의 치킨집이나 고깃집에선 하이볼을 곁들이는 테이블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하이볼은 위스키에 토닉 워터나 탄산수 등을 섞어 마시는 일종의 칵테일이다. 독한 술의 도수를 낮춰 부담스럽지 않고, 상큼하고 청량감 높은 맛 덕분에 어떤 안주와도 잘 어울린다. 큼직하고 시원스러운 유리잔에 얼음과 함께 담겨 있는 모양도 멋스러워 소위 ‘인스타그래머블’한 음료로 손색이 없다. ‘오사카 사는 사람들’ 같은 인기 유튜버를 비롯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하이볼 확산에 불을 지폈다. 하이볼의 인기는 코로나19 이후 ‘혼술’ ‘홈술’ ‘홈바’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시작된 위스키 열풍과도 궤를 같이한다.

MZ세대 입맛, 트렌드. 인스타 등 SNS 맞물려 주류 생태계 ‘균열’
혼술문화 속 취향 따라 만들기 쉽고 낮은 도수에 청량감 높아 인기

주류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편의점에서는 아예 캔으로 된(RTD·ready to drink) 하이볼 제품도 판매한다. 그동안 하이볼은 레스토랑에서 주문해 마시거나 집에서 자신의 스타일대로 만들어 먹는 식이었지만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RTD 제품은 번거로운 제조과정 없이 바로 마실 수 있다. GS25 편의점만 해도 쿠시사마 하이볼, 코슈하이볼, 로얄오크 프리미엄 하이볼 등 하이볼 RTD 제품을 내놓고 있다. GS리테일 박상래 홍보팀장은 “하이볼의 인기에 힘입어 올해 1월 믹솔로지(술과 음료를 혼합한 것) 주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7%나 늘었다”고 밝혔다.

회 안주로 곁들인 하이볼

 

위스키 전문 회사들은 일찌감치 레스토랑 등에 하이볼 제조 기기와 원료를 공급하며 시장 다지기에 나서왔다. 하이볼은 매장에서 직원들이 레시피에 따라 만드는 경우가 보통이나, 균질한 맛을 내고 판매량을 높이기 위해 전문 회사들이 생맥주 기기처럼 하이볼 제조 기기를 개발해 업장에 판매해오고 있다. 위스키 제조사 골든 블루는 2020년 하이볼 제조기기 보급 이후 지난해 ‘골든 하이볼’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5% 증가했다.

CJ제일제당은 하이볼을 비롯해 홈술, 홈파티를 즐기는 소비자들을 겨냥한 델리미트 브랜드 ‘육공육’을 내놓는 등 식품 업계도 하이볼의 인기에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한마디로 전 식음료계가 하이볼의 자장(磁場) 안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GS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캔하이볼 로얄오크 프리미엄하이볼(왼쪽)과 코슈하이볼

 

하이볼은 일본에서는 ‘국민 술’이라고 불린다. 이미 맥주 시장을 훌쩍 넘어섰다. 국내의 하이볼 열풍은 일본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언뜻 생각하면 하이볼은 일본이 원조인 것 같지만 위스키의 나라 영국이 원조로 알려져 있다. 오랫동안 스파클링 와인을 즐기던 영국 상류층을 중심으로 19세기부터 도수가 높은 위스키에 소다를 섞어 마시는 것이 유행했다. 하이볼이라는 이름 대신 ‘위스키 & 소다’ 혹은 ‘스카치 & 소다’로 불렸다. 이름은 달라도 위스키에 탄산수를 섞어 마신다는 본질은 같다.

애주가로 유명했던 문호 헤밍웨이의 작품에도 이 술이 등장한다. <무기여 잘 있거라>의 주인공 프레더릭 헨리가 연인 캐서린 바클리와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짧은 행복을 만끽하던 순간에 마시던 술이 ‘위스키 소다’였다.

헤밍웨이,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에도 등장 . 원조는 ‘위스키 & 소다’

‘위스키 & 소다’가 어떻게 하이볼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는지에 대한 유래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위스키의 고장인 스코틀랜드에서 골프를 치면서 위스키를 많이 마셨는데 취한 골퍼들이 날린 공이 사람들 머리 위로 높이 떠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설, 골프공을 높이 띄운 사이에 생기는 짧은 시간에 잽싸게 술을 마실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 따위다. 미국에서 유래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영국에서 미국으로 전해진 ‘위스키 & 소다’는 주로 기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이 마셨다고 한다. 기차역의 바나 기차 내 식당칸에서 위스키에 소다를 탄 칵테일을 즐겼는데, 바텐더들 사이에 쓰였던 속어라는 것이다. 당시 열차의 출발 신호는 공을 끈에 매달아 공중에 띄우는 방식(ball railroad signal)이었고, 하이볼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위스키 회사 산토리는 하이볼을 내세운 마케팅에 성공했다

 

하이볼은 1950년대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일본에서도 인기를 누렸다. 서구식으로 위스키와 소다를 조합한 하이볼은 일본의 중상류층을 중심으로 1970년대까지 사랑받았지만 이후 하이볼은 맥주와 사케를 비롯해 다양한 주류가 인기를 얻으면서 뒤로 밀려났다. 경제 호황기를 맞이하면서 위스키 자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던 일본에서 하이볼이 주류 문화의 주인공으로 떠오른 것은 역설적으로 위스키 매출이 침체를 겪던 2000년대 중반이다. 거품경제가 붕괴한 뒤 일본에서는 위스키의 소비도 급전직하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위스키 회사 산토리는 하이볼을 전면에 내세웠다. 위스키에 탄산수와 레몬을 더한 산토리 하이볼은 도수(캔 하이볼은 7도)가 높지 않고 쓴맛이 나지 않으며, 맥주처럼 배부르거나 칼로리가 높지 않고 모든 안주에 잘 어울린다는 점을 내세워 대중을 공략했다. 당시 일본 젊은층에도 위스키는 독하고 ‘올드’한 술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나, 하이볼을 내세운 산토리의 이 같은 전략은 일본의 젊은층에 통했다.

일본 식문화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은 하이볼은 국내의 일본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또 <심야식당> 같은 일본 드라마가 인기를 얻으면서 국내 이자카야를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2009년 국내에서 출간된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1Q84>에도 하이볼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출간 당일만 60만부가 팔릴 정도로 신드롬을 일으켰던 이 소설에서는 ‘커티삭 하이볼’이 소개된다. 킬러인 주인공 아오마메는 살인을 한 뒤 하룻밤을 함께할 남자를 물색하는데, 커티삭 하이볼을 주문하는 남자를 점찍는다. 이 술은 아오마메가 상대의 성적 취향을 알아내는 수단이기도 하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 나왔던 술이나 음식, 음악 등은 출간 이후 특수를 기대할 만큼 큰 인기를 누려왔으나 커티삭 하이볼은 책의 판매량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다. 당시만 해도 하이볼은 국내 독자들의 입소문을 타기에는 낯선 술이었던 셈이다.

일본 산토리, 거품경제 붕괴 뒤 위스키 소비 감소 타개 위한 대책
위스키에 탄산수 레몬 섞어 젊은층 공략한 것이 성공 비결

최근 몇 년 사이 빠르게 자리 잡은 하이볼은 일본의 그것과는 맛이 좀 다르다. 일본에서는 탄산수와 레몬 등을 섞어 상큼하고 드라이한 맛이 강하다면 국내에서는 주로 당도가 높은 토닉 워터를 많이 사용해 달달하고 부드러운 편이다. 달콤한 맛 때문에 위스키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도 쉽게 적응하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국내에선 대세로 자리 잡게 됐다. 토닉 워터 외에 진저에일이나 얼그레이 시럽, 유자청 등 단맛을 내는 다양한 재료들을 혼합한 하이볼도 많다. 하지만 국내의 하이볼은 위스키 자체의 맛을 즐기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위스키 문화가 자리 잡은 일본만 해도 하이볼 메뉴는 커티삭 하이볼, 히비키 하이볼 등 원료가 되는 위스키에 따라 나뉘는 편이지만 국내 레스토랑에서는 진저 하이볼, 우롱 하이볼, 유자 하이볼 등 풍미를 위해 섞는 재료에 따라 나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류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주로 저가의 위스키를 사용해서 하이볼을 만들고 있다”면서 “고급 위스키를 즐기는 시장이 아직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하이볼을 즐기는 데 ‘정석’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누구나 쉽게, 자신의 취향에 따라 만들어 먹을 수 있다는 것도 하이볼의 매력이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에는 저마다의 하이볼 레시피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위스키와 탄산수 비율도 원하는 대로 조절하면 된다. 그럼에도 하이볼 맛을 결정하는 제일 중요한 요소는 위스키 그 자체이므로 자신의 위스키 취향을 파악해볼 필요는 있다.

 

***기사 원문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