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및 뒷담화

셀럽들도 응답하라 1997 앓이

by 신사임당 2012. 8. 27.

자료제공 tvn   8월 27일

 

셀럽들도 응칠앓이 인증!

SNS 통해 <응답하라 1997> 향한 애정 드러내

90년대 향수 자극하는 감성복고드라마

tvN <응답하라 1997>, 28() 11 11,12화 방송

극 중 H.O.T. 토니안 역할로 출연한 진짜 토니안, 본인 트위터 통해 촬영현장 사진과 시청소감 공개

연예인을 비롯, 영화감독, 만화가 등 각계 셀럽들의 응칠앓이 고백 화제

SNS 통해 돌풍 드라마’ <응답하라 1997> 대한 애정어린 반응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연예인, 감독, 만화가 셀럽들까지도 응칠앓이 고백해 화제가 되고 있다. 90년대 향수자극, 철저한 고증의 1세대 팬덤문화 표현,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 긴장감을 놓치 않는 러브라인, 배우들의 명품연기 많은 호평을 받고 있는 <응답하라 1997> 대한 시청소감부터 옥의 지적, 까메오 출연요구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

방송 초반에는 <응답하라 1997> 출연 중인 서인국, 이시언, 호야, 은지원 배우들 본인과 정은지, 호야가 속해있는 아이돌 그룹 에이핑크, 인피니트 멤버들의 응원멘트가 주를 이뤘다면 점차 입소문과 주변 추천으로 <응답하라 1997> 접한 셀럽들이 본인만의 의견을 내놓기 시작했다.

먼저 시원(정은지 ) 오직 하나뿐인 오빠야로 나오는 토니안은 방송 촬영현장 사진을 공개해 기대감을 높이는 한편 지난 24일에는 재덕이랑 같이 보는데 정말 빵빵터지는 이라며 시청소감을 남겼다. 시크릿의 전효성은 신원호PD 향해 저도 출연 한번만 부탁드려요라며 까메오 출연을 요청하고 <응답하라 1997> 함께 부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드라마 <해운대 연인들> 출연중인 다비치 강민경은 아니 그냥 부산사투리 공부하려구 생각 없이 응답하라 1997… 어떡해 해떴어요라며 강한 중독성을 인증했다. 또한 슈퍼주니어의 김기범은 신소율의 트윗을 인용해 <응답하라 1997> 방송 사수를 당부하기도 했다. 밖에도 카메오로 출연했던 양준혁, 정경미, 에이핑크의 박초롱, 윤보미, 노을의 강균성 등은 촬영현장 인증샷과 촬영소감 등을 공개한 있다.

연예인 뿐만이 아니라 각계 셀럽들까지도 응답앓이 동참했다. 웹툰작가로 유명한 메가쑈킹과 김풍은 각각 여주인공 정은지의 연기를 류승범을 처음 봤을 느낌이라며 칭찬을 하거나 1997년에 가정용 DDR 등장한 것에 대해 옥의 티라고 지적하며 애정을 드러냈다. 등장했던 만화 <오디션> 원작자 천계영도 어제 <응답하라 1997> 오디션이 깜짝 등장했다고 알려주신 트친분들 감사해요. 저도 봐야겠네요라고 멘트를 남겼다. <은하해방전선>, <도약선생> 등을 연출한 독립영화 감독으로 유명한 윤성호 감독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응답하라 1997> 보며 많은 것을 배운다. 내가 요리하고픈 말고 네가 그립도록 먹고 싶은 차려주는 재미라는 극찬을 남겼다.

셀럽들의 응칠앓이 접한 네티즌들은 연예인들도 인정하는 응칠이. 정말 대단하네”, “현직 감독도 인정한 응답하라 1997 연출력! 역시 시청자가 재미있는 작품은 전문가가 봐도 재미있구나~”, “드라마 보면서 실제 H.O.T. 젝키오빠들은 응칠이를 보면 어떨까 생각했는데 토니오빠와 재덕오빠 터졌다니 역시! , 보면서 싸우지 마세요~”, “응답하라 1997 1세대 아이돌헌정 드라마라 해도 좋을 ! 요즘은 98 배경으로 S.E.S., 핑클, 태사자 등도 등장하던데 반응 궁금하네~”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tvN <응답하라 1997> 5주차 9, 10 방송 분은 27() 11 재방송으로 다시 만날 있으며, 오는 8 28() 11시에는 6주차 11 '관계의 정의’, 12손의 의미 방송된다.

<응답하라 1997>(연출 신원호, 극본 이우정) ‘H.O.T.’젝스키스 대변됐던 1990년대 부산을 배경으로, H.O.T. 광팬 일명 ‘1세대 빠순이’ ‘시원(정은지 )’시원바라기순정훈남윤제(서인국 )', 에로지존 학찬(은지원 )’, 다정다감 섬세남준희(호야 )’ 개성만점 고등학생 여섯 남녀의 이야기를 그린 감성복고드라마. 2012 33살이 주인공들이 동창회에 모여, 추억 속에 묻어뒀던 1990년대 후반 파란만장한 스토리를 꺼내면서 흥미로운 스토리와 볼거리로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평균시청률 3% 돌파하며 5 연속 케이블TV 시간대 1위를 차지,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보도자료 및 뒷담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o is next  (0) 2013.10.06
드라마 / 아랑사또전  (0) 2012.09.14
임수정  (0) 2012.08.27
"걔들이 무슨 의사야?" <제 3병원>  (0) 2012.08.17
엠카운트다운으로 본 상반기 가요계 결산  (0) 2012.08.17

댓글0